경기송서-송서·율창 보유자 인정

경기 송서-송서율창

京畿誦書-誦書律唱
경기 송서-송서율창 사진
경기 송서-송서율창 사진
경기 송서-송서율창 사진
국가지정 및 경기도 유산 경기 송서-송서율창 관련 정보 제공 - 구분, 분류, 종목,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관리자(관리단체), 보유자
구분 경기도 무형유산
분류 무형유산 / 구전 전통 및 표현 / 언어표현
종목 예능(개인)
지정(등록)일 2011. 12. 6.
소재지 경기도 동두천시 ***
시대 조선시대
관리자(관리단체) 송서율창 보존회
보유자 이석기

국가유산 설명

송서는 한적이나 시문을 '글 읽는 소리'로 암송 하는 것이다.
'글 읽는 소리'는 뜻 글자인 어려운 한자를 배우기 위해 음률을 넣어 쉽게 알기 위한 방법으로 유년기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면 "하늘 천, 땅 지"라 하며, 몸을 좌우로 흔들며 읊조리 소리에 율이 형성, '글 읽는 소리' 기초가 되어 내용에 따라 애절, 화평, 근엄, 장엄하게 '글 읽는 소리(독서성)'을 내는 것이다. 노래조로 하는 것이라는 표현도 있으나 노래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으나 읊조려 울 뿐 '노래(歌)'가 아닌 소리(聲)'이다. 일상 생활에서 제사를 지낼 때 홀기나 죽을 읽는 것도 '글 읽는 소리'이며, 염불 소리도 '글 읽는 소리'이다. 그 형식으로 읽는 것을 '염불'이라 칭한 것이다.
율창은 풍류나 풍광에 도취 '시(詩)'를 짓고, 감성에 의한 음률을 조화롭게 '평상거입(平上去入)'하여 읊조리는 것이다. 그래서 노래라 할 수 있을 정도에 가락이 보인다.
'글 읽는 소리'에 송서·율창은 방법인 것이며, 상당한 공력이 있어야만 듣기 좋은 낭낭한 소리를 낼 수 있으며, 한국적 한학문화의 독창성과 중요한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어 조선시대 선비 문화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글 읽는 소리'는 묵독이 아닌 낭독을 의마하며, 조선시대 지식계층에서 낭독을 중요시하여 문자와 소리를 불리하지 않고 눈으로 보고 입으로 말하고 귀로 들으며 통합적으로 발전하였다.
경기도의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송서·율창은 전문가의 소리와 일반인의 송서를 모두 포함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보유자 한병옥이 2019. 8. 3. 작고하여 전수교육조교 이석기가 2021. 5. 24. 보유자로 지정, 공연 및 전승활동에 힘쓰고 있다.

담당부서 정보

  • 담당국 : 복지문화국
  •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담당팀 : 문화유산팀
  • 전화번호 : 031-860-3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