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 Commentary on the Prajnaparamita hridaya Sutra (The Heart Sutra)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사진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사진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사진
국가지정 및 경기도 유산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관련 정보 제공 - 구분, 분류, 수량 및 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구분 국가지정 보물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간경도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정(등록)일 1994. 10. 17.
소재지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406-65 (상봉암동) 대한불교조계종 자재암
시대 조선시대 전기
소유자(소유단체) 대한불교조계종 자재암
관리자(관리단체) 대한불교조계종 자재암

국가유산 설명

당나라 현장(玄장)이 번역한 반야바라밀다심경에 대해 법장(法藏)이 해설을 단 주석서이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은 줄여서 ‘반야심경’이라고도 부르는데, 여러 종파에서 공통적으로 읽고 외우는 보편적인 경전이다.
이 책은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에 송나라의 중희(仲希)가 자신이 지은 『현정기』를 붙여 다시 편찬한 것으로, 『반야심경소현정기』라 부르기도 한다. 목판에 새긴 후 닥종이에 찍어낸 것으로, 세로 31㎝, 가로 19.1㎝의 크기이다.
책머리에는 금강경의 전문(箋文:글의 뜻을 해명하거나 자기의 의견 등을 적어서 그 책에 붙이는 작은 쪽지)인 금강경심경전(金剛經心經箋)이 붙어 있다. 전문에 의하면 금강경은 조선 세조 10년(1464) 간경도감(刊經都監:불경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에서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책 끝에는 조선 세조 10년(1464) 효령대군과 한계희 등이 왕명을 받아 간경도감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책은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보물)와 같은 책이나 책 첫머리에 금강경의 전문이 붙어 있는 것이 다르다. 또한 보존 상태도 보다 양호하며, 교정을 하였다는 뜻으로 ‘교정인(校正印)’이라 쓰여진 도장이 찍혀 있는 점도 다르다.


담당부서 정보

  • 담당국 : 복지문화국
  •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담당팀 : 문화유산팀
  • 전화번호 : 031-860-3332